[학술지 제9권-06] 무역제재가 산업구조에 미치는 영향_대북제재 사례를 중심으로_문예찬
본 연구는 무역제재 이론을 바탕으로 대북한 무역제재의 현황을 논의한다. 특히 북한이 무역제재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살펴보며, 무역제재가 북한에 미친 영향을 새롭게 조명한다. 2006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대북제재 결의안을 발표한 이후, 북한은 외화 유입과 자원 조달의 제한을 받는 고강도 무역제재를 겪어왔다. 이에 북한은 자립 가능한 산업에 자원을 집중하고 무역 경로를 다변화하여 경제적 타격을 완화하려는 전략을 채택해 왔으며, 특히 건설 산업과 같은 자급 가능 분야에 집중하여 경제 자립을 추진하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는 제재 이후 북한의 산업구조와 자원 배분 변화 양상을 분석하여, 무역제재가 제재 대상국의 정책적 우선순위와 산업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무역제재 효과를 높이기 위해 제재 대상국의 경제 구조와 자원 흐름을 고려한 다각적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하며, 향후 대북 무역제재 정책 설계에 중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